728x90
pinary[i] = i 자리 이친수를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
pinary[i]는 i-1 자리 이친수 패턴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.
그리고 위 사진을 잘 보면 i 자리 이친수는 i-2 자리 이친수 패턴이 적용된 i -1 자리 이친수에 2가지 경우 (0, 1)가 가능하다.
예를 들어서 i = 5 라고 하면,
10000, 10001
10101, 10100
빨간색으로 칠한 부분이 i = 3 자리인 이친수이다.
pinary[i] 는 pinary[i-1]의 경우의 수를 그대로 가져가고, 추가로 pinary[i-2]의 경우의 수가 추가된다.
결국 pinary[i] = pinary[i-1] + pinary[i-2] 가 성립
728x90
'알고리즘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케빈 베이컨의 6단계 법칙 (3) | 2024.10.05 |
---|---|
구간 합 구하기 5 (3) | 2024.10.01 |
[구현] 소수의 연속합 - 소수 판별 (에라토스테네스의 체) (0) | 2024.08.21 |
[그리디] 단어 수학 (0) | 2024.08.09 |
이코테 [구현] 백준3190 뱀 (1) | 2024.07.20 |